겨울 풍경이 아름답기로 소문난 팔공산 산행
절기상으로 대한(大寒)의 이름값을 하는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친구와 둘이서 대구 팔공산으로 산행을 해보지만 날씨는 여전하게 춥기도 하다. 올 겨울은 이상하게도 삼한사온(三寒四溫)의 날씨는 찾아볼
수가 없이 연일 강추위의 동장군이 물러갈 줄을 모르고 기승을 부리면서 전국적으로 추위의 도가니 속으로 몰아넣기도 한다. 하지만 춥다고
해서 움츠리고 있는 것 보다는 운동을 하여 면역력을 키우고 또한 건강한 삶을 위하여 대구의 인근에 있는 팔공산의 최고봉인 동봉으로 오르
면서 즐거운 산행을 하기도 한다.
팔공산은 대구 시민들이 즐겨 찾는 유일한 진산이자 사계절의 풍경이 아름답기도 하다.
특히 가을에는 단풍이 유명하여 전국에서 물려드는 산 꾼들의 발걸음으로 인산인해를 이루기도 하지만 겨울에는 눈 덮인 팔공산의 설경이
아름답기로 소문난 산하이기도 하다. 하지만 요즘 같은 겨울의 팔공산은 풍경이 밋밋하여 볼 폼은 없지만 그래도 팔공산의 동봉 정상에서
사방으로 내려다보면 아름다운 풍경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기도 하면서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또한
팔공산은 옛 부터 중악(中岳).부악(父岳) 등으로 불러져 온 영남 지역의 아름다운 명산(名山)이다. '중악'이나 '공산'의 명칭은 「삼국유사
(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등의 기록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공산'은 현재의 팔공산을 명칭 하는 것이고, '중악'이라는 것은
신라 오악(五岳)의 하나로 불리던 명칭이었다고 한다.
팔공산은?
동봉의 해발이 1,193m이다.
대구광역시 중심부에서 북동쪽으로 약 20㎞ 떨어진 지점에 솟은 대구의 진산이다.
남쪽으로 내달리던 태백산맥이 낙동강·금호강과 만나는 곳에 솟아 행정구역상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지만, 영천시·경산시·칠곡군·
군위군 등 4개 시·군이 맞닿는 경계를 이룬다. 주봉인 비로봉(毘盧峰)을 중심으로 동·서로 20㎞에 걸쳐 능선이 이어진다. 예로부터 부악
(父岳)·중악(中岳)·공산(公山)·동수산(桐藪山)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남쪽에 문암천(門岩川), 북쪽과 동쪽에 한천(漢川)·남천(南川)·
신녕천(新寧川) 등 여러 하천과 계곡이 발달하였다고 한다.
팔공산의 주봉인 동봉에서 친구와 함께 인증샷으로 한 컷을 담아본다.
해발은 1,192미터이다.
우리는 상기의 등산코스로 팔공산 동봉으로 산행을 실시한다.
팔공산 동봉으로 산행을 하기 위하여 수태골의 입구에서 산행들머리로 산행을 시작 한다.
이곳에서 동봉까지는 약 3.5km의 거리다.
팔공산 등산로의 안내도가 한 눈에 보이기도 한다.
수태골에서 동봉으로 오르는 들머리에는 노송의 산림이 우거진 숲 길을 따라 여유로운 마음으로 걸어본다.
절기상으로 大寒이라서 그런지 수태골의 계곡에는 얼음이 얼어서 녹아 내릴 줄을 모른다.
팔공산으로 오르면서 힘이 들면 이곳의 쉼터에서 잠시 쉬었다가 오르기도 한다.
팔공산으로 오르는 중턱에는 문화재자료 제33호인
수릉봉산계 표석이 있기도 하다.
수태골 중간에 있는‘ 수릉봉산계’ 표석은
조선조익종의 능인 수릉(綏陵)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이곳 소나무를 보호했다고 하기도 한다.
동봉까지는 1.9km의 발품을 더 팔아야 하기도 한다.
이곳은 팔공산의 암벽등반을 하는 암벽의 전경이다.
많은 암벽등반가들이 주말이면 인산인해를 이루면서 짜릿한 암벽을 즐기기도 한다.
암벽이 가파르기도 하다.
암벽등반을 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지역이라서 주의 표시를 하기도 한다.
동행한 친구는 암벽을 배경으로 한 컷을 담아보기도 한다.
팔공산의 폭포로 가는 길이다.
폭포 주변에는 주상절리의 거대한 바위가 자리잡고 있기도 하다.
절기상으로 大寒을 맞이하여 추운 날씨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계곡의 폭포에는 얼음이
녹을 줄을 모르고 꽁꽁 얼어붙어 있기도 하다.
팔공산은 해발이 높아서 그런지 눈이 내려서 등산로에도 눈이 소복하게 쌓여있기도 하다.
이제 동봉으로 가는 길은 1.1km의 발품을 더 팔면 되기도 한다.
이 친구는 평소에도 산행을 좋아하지는 않는데 오늘따라 팔공산으로 산행을 가자고 해서 둘이 팔공산으로 올라 본다.
이곳이 동화사 방면으로 가는 길과 수태골로 내려가는 방향의 갈림길이기도 하다.
케이블카를 이용하여 갈려면 동화사 방면으로 하산을 하여야 한다.
동봉으로 오르는 길에 네모난 자연의 바위가 마치 쌓아놓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동봉으로 오르는 8부능선으로 가는 길에는 깔딱고개의 가파른 오르막 길을 걸어야 한다.
서봉과 비로봉으로 가는 길은 좌측의 이정표를 따라서 오르면 된다.
비로봉은 과거에 군사보호 지역으로 통제가 되었는데 지금은 비로봉으로 갈 수가 있다.
이곳이 위에 사진상으로 보이는 현위치에 해당되는 위치이기도 하다.
현위치에서 가파를 오르막을 오르면 바로 눈 앞에는 팔공산의 동봉에 도착하기도 한다.
동봉의 정상부에 있는 가파른 나무계단을 오르면 바로 정상에 도착을 하면서
아름다운 풍경이 마치 파노라마처럼 끝없이 펼쳐지기도 한다.
동봉의 정상에서 바라보이는 각종 기지국이 한 눈에 들어오기도 한다.
산 정상에는 아무런 시설물이 없이 자연의 그대로 보존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시설물이 있는 것은 어쩔 수 가 없지만
대개는 군사시설의 경우 민간인의 산행도 통제하지만 여기에서는 일부 개방하고 있어 다행이기도 한다.
과게에는 군사보호지역으로서 비로봉이 있는 이곳은 통제가 되었지만 지금은 개방하여 비로봉을 갈 수가 있다.
동봉의 정상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면 아름다운 팔공산의 겨울 풍경에 반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밋밋한 겨울 풍경이 아니고 봄과 여름의 산천초목이 우거진 녹색의 푸른 물결이 출렁거린다면 더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하기도 할 것이다.
동봉에서 줌 렌즈로 당겨서 담아본 수태골의 풍경이다.
저 아래에는 수태골의 저수지가 보이기도 하지만 앞으로 보이는 우측의 마을에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생가지가 있는 마을이기도 하다.
팔공산 동봉의 정상에서 바라본 기지국의 전경이다.
이곳에서 갓바위로 가는 길은 7km의 능선길을 걸어야 도착을 할 수가 있다.
동봉의 정상에서 바라본 팔공산의 겨울 산하이기도 하다.
갓바위로 가는 길은 이곳의 능선길을 따라서 7km를 걸어가면 도착을 할 수가 있다.
하지만 능선길을 걷다 보면 아름다운 풍경이 끝없이 펼쳐지면서 지루한 줄을 모르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도착을 할 것이다.
팔공산의 아름다운 풍경이 마치 파노라마처럼 끝없이 펼쳐지기도 한다.
우뚝하게 솟아오른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루면서 팔공산은 역시 위대하기도 하다.
동봉에서 이곳으로 능선 길을 걸어가면 갓바위로 간다.
저 뒤로는 팔공CC의 골프장이 보이기도 한다.
정상에서 바라본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루기도 한다.
정상에서 줌 렌즈로 당겨서 담아본 팔공CC의 골프장이 한 눈에 들어오기도 한다.
골프장의 뒤에 보이는 높은 봉우리를 지나면 갓바위가 더욱더 가까워 진다.
이곳의 팔공CC는 가을이면 전국에서 몰려드는 골프 어 분들이 단풍을 즐기면서 라운딩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가을에는 팔공CC의 골프장을 예약하기가 어렵기도 하다. ㅎㅎ
팔공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동화사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기도 한다.
줌 렌즈로 당겨서 담아본 동화사의 전경이다.
정상에서 바라본 팔공산 케이블카 운행지구가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 팔공산을 오르기 위하여 힘든 발품을 팔기가 불편하면 동화사 지구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앞에 보이는 케이블카 도착지 내려서
오르면 훨씬 수월하기도 하다.
이 친구는 평상시에 산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는데
대구에서 살면서 대구 시민들의 진산인 팔공산을 처음으로 올라본다고 하니 아마도 대구 사람이 아닐 것이다. ㅎㅎ
처음으로 팔공산을 올라 1,192미터의 정상에서 인증샷을 하기도 한다. ㅎㅎ
꼬끼오의 본인도 동봉의 정상에서 인증샷으로 한 컷을 담아보기도 한다.
동봉의 이름은 원래는 미타봉이다. 팔공산 정상인 비로봉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고 해서 이곳을 "동봉"이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팔공산에서 한 컷을 담아보는 꼬끼오도 인증샷을 한다.
동봉이라는 표지석의 반대편에는 팔공산이라고 적혀 있으며.
팔공산은 "신라오악"중에서도 중악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그래서 통일신라의 중심지적 위치를 지켜낸 이후 명산으로서 그 위용을 지켜내고 있다고 한다.
동행한 친구도 팔공산의 표지석에서 인증샷으로 한 컷을 담아본다.
대구에 살면서도 생전 처음으로 팔공산을 올라본다고 한다.ㅎㅎ
그래서 본인은 극기훈련을 했다고 힘들었다고 하소연을 하기도 한다. ㅋㅋ
동봉 정상에는 팔공산의 사방으로 가는 이정표가 붙어있기도 하다.
둘이서 절기상으로 大寒의 한파에도 불구하고 팔공산으로 올라서 많은 힐링을 하기도 하였다. ㅎㅎ
아무리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산을 오르면 비지땀이 등줄기에서 줄줄 흘러내리기도 한다.
그래서 좌측의 꼬끼오 본인은 정상의 추운 곳에서도 올라오면서 땀이 많이 나서 겉옷은 배낭에 넣고 가벼운 옷차림으로서
산행을 하기도 한다. ㅎㅎ
동봉의 정상에서 기지국의 배경으로 꼬끼오도 한 컷을 담아본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동쪽의 토함산(동악), 서쪽의 계룡산(서악), 남쪽의 지리산(남악), 북쪽의 태백산(북악)이 있고,
중앙지역에 있는 공산(팔공산의 약칭)은 중악이라 불리어져왔는데, 이를 보아서도 팔공산은 통일신라의 중심지적 위치임을 알 수가 있다.
또한 팔공산은 경북, 대구 시민들의 진산이자 아름다운 명산이다.
동봉의 정상에 올라서 주변의 사방을 살펴본다.
뒤편의 좌측으로는 비로봉이 보이지만 산세보다는 주변의 시설물들이 설치돼 있어 자연경관을 크게 느껴볼 수는 없지만
그 위에서 팔공산의 아름다운 산하를 바라보는 것 자체만으로도 팔공산 등산의 의미를 지닐 수가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동봉 정상에서 갓바위 방향으로 담아본 아름다운 팔공산의 산하가 끝없이 펼쳐지기도 한다.
팔공산은 경북의 산이겠지만 대구 도심에서도 보이는 산이고, 대구 지역에서 쉽게 오를 수 있는 아름다운 산하이기도 하다.
또한 대구시민의 노래에서도 있듯이
능금꽃 피고 지는 내 고향 땅은 팔공산 바라보며 해 뜨는 거리…
그래서 팔공산은 대구시민들의 진산인 것이다.
또한 팔공산은 대구시와, 경북 지역을 합쳐서 유명한 산하가 되기도 하였을 것이다.
팔공산 동봉의 정상에서 줌 렌즈로 당겨서 담아본 대구 시내의 풍경이 한 눈에 들어오기도 한다.
조망이 별로라서 희미하게 대구시내가 보이면서 우측의 저 뒤로는 대구 두류타워가 보이기도 한다.
맞은편에는 대구의 앞산도 보인다.
大寒의 강추위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의 친구들이 팔공산 동봉을 오르면서 먼 훗날의 아름다운 추억으로
인증샷을 하면서 멋지게 한 컷을 담아주기도 하였다.
동봉을 오른 젊은 대학생들의 친구들이 인증샷으로 멋진 포즈를 취하면서 한 컷을 담아주었다. ㅎㅎ
역시 미남의 대한 건아들이다.
동봉을 오르면서 성취감에 파이팅을 외쳐보기도 한다. ㅎㅎ
ㅎㅎ 그런데 우측의 썬그라스를 낀 저 친구는 왜 거기에 있노
대학생들의 친구들이 팔공산의 정상에서 먼 훗날의 아름다운 추억으로 인증샷을 남기기도 한다.
영하의 강추위에도 불구하고 젊은 혈기로서 산을 오르는 자체만으로도 대단하다. ㅎㅎ
대구 시민들의 진산인 팔공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인증샷을 남긴다.
젊은 친구들이여!
미래의 꿈나무가 되기를 바라면서 항상 긍적적인 마인드로서 병신년 올 한해도 하는 일들이 만사형통 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팔공산 산행 안내도다.
팔공산으로 산행을 하는 교통정보다.
팔공산으로 산행을 하는 종주코스의 정보다.
팔공산의 종주코스는 약 총 27.7km 구간으로 거리가 멀기도 하다.
팔공산 종주코스로 산행을 계획하시는 분들은 상기의 개념도를 보시고 즐거운 산행을 하시기 바랍니다.
방가방가요 ^**^ 방문을 환영합니다.
새해에 복많이 받으십시오
가실 때는 아래의 ♥(공감) 버튼을 한 번 꾹 눌러주시면 복 받으실 것입니다. ㅎㅎ
아울러 더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 산 꾼의 이야기 ♣ > 100대 명산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문경시} 수리봉의 바위가 우뚝 솟아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황장산 (1) | 2016.09.18 |
---|---|
{충북 영동} 눈이 많이 내리는 산하로 널리 알려진 민주지산 설경의 아름다운 풍경 (0) | 2016.02.06 |
{전북 무주} 설경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덕유산에서 힐링을 하기도 한다. (0) | 2015.12.27 |
{전남 영암} 기암괴석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국립공원 월출산 (0) | 2015.12.24 |
{경남 산청} 지리산에도 단풍이 곱게 물들어가면서 예쁜 옷을 갈아입기 시작을 한다. (0) | 201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