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멸보궁으로 유명한 사찰 비슬산 용연사
적멸보궁으로 유명한 사찰인 용연사로 나들이를 가본다.
평상시에도 불교신자로서 사찰을 많이 찾아 다니기도 하지만 특히 용연사의 적멸보궁은 우리나라의 8대 보궁 중의 하나로서 영남지방
의 영험한 기도도량으로서 부처님의 훈향을 느낄 수가 있는 성지이기도 하다. 부처님의 육신과 다름없는 진신사리를 모신 곳을 적멸보궁
이라고 한다. 설악산의 봉정암, 영축산의 통도사. 태백산의 정암사. 오대산의 월정사. 사자산의 법흥사에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여 이를
5대 적멸보궁이라고 한다.
그리고 용연사의 문화재로는 보물이 2점이나 있으며
적멸보궁으로 유명한 용연사는 비슬산의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912년(신라 신덕왕 1년)에 보양선사가 창건하였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3년(선조 36년)에 사명대사가 다시 재건하였다. 그 후 다시 한번 소실되어 현재는 1728년에 세운 극락전과
적멸석궁 석조계단, 안양루 등의 전각이 남아 있다.
멀리서 바라본 용연사의 전경이다.
비슬산용연사 자운문의 일주문이기도 하다.
일주문이 다른 사찰보다는 좀더 화려하기는 하다.
적멸보궁으로 유명한 사찰인 용연사에는 제 6기 불교대학 신입생을 모집하기도 한다.
관심이 있으신 불자님들은 불교대학에 입학을 신청하면 된다.
용연사의 문화재로는 보물 제539호인 석조계단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인 삼층석탑 그리고
용연사 극락전, 용연사 부도군 등이 있다. 그래서 문화관광 해설사의 집이 있기도 하다.
용연사의 일주문을 지나서 좌측으로는 오르면 적멸보궁이 있기도 하다.
비슬산용연사 적멸보궁이라는 곳으로 잠시 올라가다보면 적멸보궁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아래 적멸보궁에 대한 설명의 글이다.
상세한 내용은 상기의 글을 읽어보면 용연사의 적멸보궁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수가 있을 것이다.
용연사 적멸보궁의 전경이다.
적멸보궁이라는 전각은 부처님과 동일한 진신사리를 예배하는 장소로 마련된 절집의 공간이며,
진신사리가 안치되어있기 때문에 유일하게 불상이 없는 전각이 된다. 진신사리가 있는 방향으로 창이 나있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용연사 금강계단의 전경이다.
금강계단은 보물 제539호다.
보물 제 539호인 금강계단의 설명에 대한 글의 내용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구 옥포면 반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부도. 보물 제539호다.
계단은 2층 기단 구성으로 상층 기단 위에 석종형의 탑신을 안치하였고, 탑구 안에는 하층 기단 밖으로 네귀퉁이에 각 1구씩의 신장상을
배치하였다. 보물 제539호. 높이 2m. 돌로 만든 계단으로, 돌난간으로 테두리를 두른 탑구(塔區) 안에 있다. 앞에는 배례석(拜禮石)과 함께
석등이 서 있고, 다시 그 앞쪽에는 법당이 있다.
적멸보궁의 마당 옆에는 각종 조각품들이 즐비하게 늘어져있기도 하다.
금강계단과 적멸보궁의 전경이다.
천왕문으로 들어서면 극락전이 바로 보이기도 한다.
아래 용연사 극락전에 대한 설명의 글이다.
상기의 내용을 읽어보면 극락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용연사 극락전의 전경이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 (1995. 5. 12 지정)
극락전은 기단을 좀 높게 하기 위해 화강석으로 쌓고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구성하고 있다.
전면과 측면의 어칸을 협칸보다 넓게하여 불단을 조성하기 위한 넉넉한 공간을 배려하였다. 내부는 고주를 세우고 고주 사이를 후불벽으로
하여 앞쪽으로 불단을 꾸몄으며 불단 상부에는 보개를 얹고 전면에 운각과 용을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그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았다. 건물의 구성은 둥근 기둥을 세운 다포계의 맞배지붕으로 특이한 것은 배면 기둥과 대량에 시주의 이름을 음각하고 있는 것과 내부
단청의 화려함으로 18세기 건축물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은 상기의 극락전에 모셔져 있으며
보물 제 1813호이기도 하다.
아래 용연사의 삼층석탑에 대한 설명의 글이다.
용연사의 삼층석탑에의 전경이다.
법당의 중심선에서 오른쪽으로 약간 벗어난 자리에는 자그마한 삼층석탑이 하나 놓였다.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로 지정된 고려시대 석탑이다. 기단부는 단층으로 바뀌고, 몸돌은 긴 대신 지붕돌이 두껍고 낙수면이 짧으며
층급받침이 넷으로 줄어드는 등 시대의 하강을 보여주는 요소들이 뚜렷하다. 용연사에서 가장 오래 된 유물이지만 크기가 2m 남짓에
세장하여 극락전이나 다른 건물들의 규모에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다.
용연사 영산전의 전경이다.
용연사 삼성각의 전경이다.
극락전의 좌측으로는 명부전과 홍제문이 있기도 하다.
용연사 명부전의 전경이다.
홍제문의 전경이다.
산신각의 전경이다.
용연사의 마당 한구석에는 빨간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기도 하다.
용연사 안양루의 전경이다.
방가방가요 ^**^ 방문을 환영합니다.
가실 때는 아래의 ♥(공감) 버튼을 한 번 꾹 눌러주시면 복 받으실 것입니다. ㅎㅎ
아울러 더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 국내여행 갤러리 ♣ > 전국 유명사찰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동구} 사월 초파일을 이틀 앞두고 한가지의 소원을 들어주는 팔공산 갓바위에 오른다. (0) | 2017.05.01 |
---|---|
{대구시 달성군} 사월 초파일을 며칠 앞두고 도성국사가 창건한 비슬산 대견사를 가본다. (0) | 2017.04.30 |
{강원 정선} 보물 제 410호 수마노탑이 있는 강원도 정선의 정암사 (0) | 2016.12.20 |
{제주시 북제주} 바다의 조망이 좋은 대한불교 조계종 평화통일불사리탑사 (0) | 2016.12.07 |
{대구시 동구} 팔공산 자락의 남쪽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부인사의 가을풍경 (0) | 2016.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