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 둘이서 한가지의 소원을 들어주는
팔공산 갓바위를 갔다가 약사암과 용주암으로 하산을 하기도 한다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여유로운 날에 친구와 둘이서 한가지의 소원을 들어주는 팔공산 갓바위를 올라본다.
요즘은 가만히 있어서 등줄기에는 비지땀이 줄줄 흐르기도 하지만 이열치열이라고 팔공산 갓바위를 힘들게 오르면서 한가지의 소원을 들어달라고 부처님 앞에서 기도를 올리기도 한다. 평상시에도 친구와 둘이는 불자로서 어느 사찰을 막론하고 둘이서 많이 다니기도 하고 또한 불교공부도 열심히 하면서 불교신자로서의 길을 걷기도 한다. 갓바위로 오르는 1.365돌계단의 가파른 오르막 구간을 이용하여 숨통이 막힐 정도로 헉헉거리면서 갓바위 관봉 정상에 올라서 기도를 올리고 약사암에 들렀다가 용주암으로 경유하여 약 5km의 구간을 걸어보면서 하산을 하기도 한다. 산행과 기도를 병행하여 갓바위를 오르면서 친구와 둘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오기도 하였다.
■ 승용차로 팔공산 갓바위 뒷길 오는 길
*서울 방면에서 올 경우
경부고속또는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김천 - 금호 분기점(부산방향) -도동분기점
( 대구-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포항쪽으로 진행)- 청통와촌IC (고속도로에서 내린 후) - 좌회전 약 500미터 -신안삼거리에서 우회전 -6킬로 관음휴게소 주차 후 큰 도로를 따라서 도보로 선본사 일주문(버스 종착지점)을 통과 - 갓바위(약30-40분 소요)
*부산 방면에서 올 경우
경부고속도로 이용 동대구분기점 -도동분기점( 대구-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포항쪽으로 진행) -
청통와촌IC (고속도로에서 내린 후) - 좌회전 약 500미터지나 -신안삼거리에서 우회전 -6킬로 관음휴게소 주차 후 도로를 따라 도보로 선본사 일주문(버스 종착지점)을 통과하여- 갓바위(약30-40분 소요)
■ 승용차로 팔공산 갓바위 오는 길 (내비게이션 맞추는 주소)
(갓바위 앞 길 진인동 코스 주차장)
*내비게이션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진인동 산4번지
(갓바위 뒷길 선본사 방향 주차장)
*내비게이션 주소(구.주소) :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587
(도로명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699
■ 버스(대중교통)로 팔공산 갓바위 오는 길
1.대구방향으로 올라오실 경우 (갓바위 앞길)
동대구역사를 빠져나와 오른쪽으로 돌아서 길을 건너지 않고 육교 아래에서 401번을 타고 종점까지 오면 된다.
2.경산 선본사 방향으로 올라오실 경우 (갓바위 뒷길)
동대구역사를 나와서(길을 건너지 말고) 정류장에서 818또는 814번 버스를 타면 된다.
하양 시외버스 터미널 앞에서 하차 후 다음 바로 그 장소에서 803번 시내버스를 타고 와야 한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기사 분에게 갓바위 행을 확인해야 한다. (가끔 다른 방향으로 가기도 한다.) 약 40분정도 시간이 지나 종점에서 내린 후 30분 도보로 걸어서 오면 갓바위에 도착할 것 이다.
파란 하늘에 팔공산 갓바위 정상의 석조여래좌상의 부처님 모습이다.
이 불상은 현재 보물 제 431호로 지정되어 있다
팔공산의 남쪽 봉우리 관봉(冠峰)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불 좌상으로서, 전체 높이는 4m에 이른다. 관봉이 곧 우리말로
'갓바위'이므로 흔히 '갓바위부처님'이라고 부른다.
갓바위 주차장에서 주차를 히고 입구에서 갓바위로 오르기도 한다.
팔공산 자연공원 안내도다.
갓바위 주차장 입구에서 갓바위 정상까지는 가파른 오르막 구간의 2km를 걸어야 한다.
갓바위의 앞길을 이용하여 갓바위를 오르면 반드시 이곳의 관암사를 들러야 하는 관문이기도 하다.
선본사의 대웅전에서 불공을 드리고 나면 1,365 돌 계단을 이용하여 갓바위 관봉 정상까지 힘들게 올라야 한다.
관암사의 종각이다.
갓바위로 오르는 1.365계단을 가파르게 올라야 한다.
같이 동행한 친구는 돌계단의 입구에서 인증샷으로 한 컷을 담아본다.
1.365돌계단을 이용하여 가파른 오르막 구간을 힘들게 올라야 한다.
중턱을 오르다가 갓바위 주차장이 있는 갓바위 시설지구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기도 한다.
중턱을 오르다가 전망대에서 대구시내의 일부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기도 한다.
같이 동행한 친구는 스마트 폰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한 컷 담아보기도 한다.
1.365돌계단의 가파른 오르막 구간을 올라서 한가지의 소원을 들어주는 갓바위 입구에 도착을 한다.
갓바위 입구에 곱게 피어난 한 송이의 나리꽃이 아름답기도 하다.
갓바위 입구에는 각종 불교용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갓바위 정상에는 많은 사람들이 갓바위 부처님 앞에서 한가지의 소원을 들어달라고 열심히 기도를 올리기도 한다.
같이 동행한 친구도 평소에 불교신자로서 갓바위 부처님 앞에서 기도를 올리고 있는 모습이다.
갓바위 부처님의 배경으로 같이 동행한 친구와 둘이서 한 컷을 담아보기도 한다.
팔공산 갓바위 정상의 석조여래좌상의 부처님 모습이다.
이 불상은 현재 보물 제 431호로 지정되어 있다
팔공산의 남쪽 봉우리 관봉(冠峰)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불 좌상으로서,
전체 높이는 4m에 이른다. 관봉이 곧 우리말로 '갓바위'이므로 흔히 '갓바위부처님'이라고 부른다.
옆면에서 바라본 갓바위 부처님의 모습이다.
줌 렌즈로 당겨서 담아본 갓바위 부처님의 모습이다.
갓바위 정상의 유리광전이다.
갓바위 정상에서 바라본 용주암 주변의 풍경이다.
갓바위 정상에서 내려다본 주변의 풍경이다.
갓바위 정상에서 내려다본 주변의 풍경이다.
갓바위 정상에서 내려다본 약사암의 주변의 풍경이다.
저 뒤로는 갓바위 뒷길로 올라오는 주차장이 보이기도 한다.
갓바위에서 기도를 올리고 내려오다가 대구시민들의 진산인 팔공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친구의 모습을 한 컷 담아보았다.
저 뒤로는 팔공산의 최고봉인 동봉과 군부대의 기지국이 보이기도 한다.
내려오다가 노적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 컷 담아보았다.
갓바위 대웅전에 기와불사를 접수하기도 한다.
갓바위 대웅전이 있는 곳으로 하산을 하기도 한다.
갓바위 대웅전 앞에는 석탑이 있기도 하다.
갓바위 대웅전이다.
갓바위 대웅전 내부의 부처님 불상이 모셔져 있기도 하다.
갓바위 대웅전 주변의 풍경이다.
갓바위 약사암의 종무소다.
갓바위에서 불공을 드리고 약사암에 도착을 하기도 한다.
약사암에서 또 기도를 올리면서 잠시 쉬었다가 하산을 하기도 한다.
약사암에는 와불상이 있기도 하다.
약사암의 산신당으로 오르는 길이다.
아래 약사암 삼천불전의 설명 글이다.
약사암 삼천불전의 전경이다.
약사암 삼천불전이 모셔져 있는 내부의 모습이다.
같이 동행한 친구는 삼천불전의 부처님과 함께 한 컷을 담아보기도 한다.
약사암에서 바라본 주변의 풍경이다.
장독대에는 약사암에서 공양을 하는 된장을 담아놓은 장독대가 즐비하게 늘어져 있기도 하다.
갓바위와 약사암을 거쳐서 팔공산 관봉 용주암에 도착을 하기도 한다.
용주암의 전경이다.
저 뒤로는 용주암에서 바라본 갓바위 정상이 바라다 보이기도 한다.
용주암의 종무소다.
통일기원 탑이다.
용주암의 입구에는 포대화상이 있고 그 주변으로는 작은 불상들이 즐비하게 늘어져 있기도 하다.
용주암에서 바라본 갓바위 정상의 풍경을 줌 렌즈로 당겨서 한 컷 담아보았다.
용주암의 전경이다.
같이 동행한 친구는 용주암의 포대화상의 배경으로 한 컷을 담아보기도 한다.
암자에 불상이 모셔져 있기도 하다.
내부의 전경이다.
용주암 산신각의 모습이다.
용주암의 마애불상이 있기도 하다.
방가방가요 ^**^ 방문을 환영합니다.
가실 때는 아래의 ♥(공감) 버튼을 한 번 꾹 눌러주시면 복 받으실 것입니다. ㅎㅎ
아울러 더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 국내여행 갤러리 ♣ > 대구,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달서구} 매일 산책을 하는 길에 학산에서 바라본 대구시내의 풍경 (0) | 2018.09.11 |
---|---|
{대구시 달서구} 월광수변공원에서 '달서구 평생학습대축제'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0) | 2018.09.09 |
{대구시 동구} 한가지의 소원을 꼭 들어주는 팔공산 갓바위에 올라본다. (0) | 2018.06.05 |
{대구시 달성군} 봄비가 내리는 날 옥연지 송해 둘레 길을 걸어본다. (0) | 2018.05.07 |
{경북 포항시} 30만 송이로 조성된 포항 뱃머리마을 튤립 꽃 축제 (0) | 201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