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팔공산 부인사 도로 오른편에 큰 돌로 세워 놓은 '부인사' 이정표를 보고 길을 오르면 포도밭과 약수터가 좌우로 펼쳐지고, 이어 부인사가 나타난다. 부인사는 동화사의 말사로 7세기경에 창건되었으며 신라시대에 선덕여왕의 축원당으로 사세를 크게 떨쳤다. 경내에 선덕여왕을 모시는 사당 '선덕묘' 가 있어, 매년 .. 더보기
갓바위 관음사 갓바위는 해발 850m의 관봉 정상에 정좌한 거대한 불상이다. 관봉은 팔공산 능선의 최동단 봉우리로 산 밑에서부터 돌계단이 길게 이어져 있다. 주차장, 식당 등 편의시설이 조성된 갓바위 집단시설지구에서 돌계단을 밟아 1시간 정도 오르면 정상에 당도하게 된다. 갓바위는 전체 높이 4m인 좌불로, 정.. 더보기
강원도횡성 구룡사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다. 신라의 승려 의상(義湘)이 668년(문무왕 8)에 세운 절로, 창건 당시의 절 이름은 구룡사(九龍寺)이다. 이름에 얽힌 9마리 용의 전설이 전해 내려오며, 창건 이후 계속하여 도선(道詵) ·자초(自超) ·휴정(休靜) 등이 거쳐 가면서 영서(嶺西) 수.. 더보기
전남담양 보리암 보리암은 전남 담양군 추월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으며 사찰에서 내려다 보이는 담양호가 장관이다 더보기
경북봉화 청량사 663년(신라 문무왕 3년) 원효대사가 창건했으며, 청량산 도립공원 내 연화봉 기슭 열두 암봉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암봉에는 소나무와 각종 활엽수가 울창하며, 청량사 바로 뒤에는 청량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보살봉이 있다. 청량사가 내청량이라면 응진전은 외청량이다. 응진전은 원효대사가 머물.. 더보기
충북영동 영국사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신라 제30대 문무왕(文武王) 8년에 원각국사(圓覺國師)가 창건하였으며, 제32대 효소왕(孝昭王)이 신하들을 거느리고 피난하였던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고려 제23대 고종(高宗) 때 감역(監役) 안종필(安鍾弼)이 왕명으로 탑 ·부도 ·금당(金.. 더보기
경북김천 직지사 고구려의 아도(阿道)가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현재 사적비(寺蹟碑)가 허물어져 확실한 것은 알 수 없고, 418년(눌지왕 2)에 묵호자(墨胡子)가 경북 구미시에 있는 도리사(桃李寺)와 함께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 후 645년(선덕여왕 14)에 자장(慈藏)이, 930년(경순왕 4)에는 천묵(天默)이 중수하고, 936년(태조 1.. 더보기
지리산 법계사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73호로 지정되었다. 지리산(智異山:1,915m) 천왕봉(天王峰) 동쪽 중턱에 있는 법계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며 신라 진흥왕(眞興王:재위 540∼576) 때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하였고, 조선시대에 정심선사(正.. 더보기
경북청송 대전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672년(신라 문무왕 12) 의상(義湘)이 세웠다는 설과 919년(고려 태조 2) 눌옹(訥翁)이 창건했다는 설도 있다. 절이 있는 산과 절의 이름은 주왕의 설화에서 유래한다. 《주왕내기(周王內記)》에 따르면, 중국 당나라의 주도(周鍍)라는 사람이 스스로 후.. 더보기
전남영암 도갑사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79호로 지정되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말기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으며, 조선 전기 1456년(세조 2) 수미(守眉)가 중건하였다. 국보 제50호로 지정된 도갑사의 해탈문(解脫門)은 현존하고 있는 한국의 건물 .. 더보기
충북제천 덕주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창건자와 연대는 미상이나, 구전으로 587년(진평왕 9)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그것에 따르면 신라의 마지막 공주인 덕주공주(德周公主)가 마의태자(麻衣太子) 일행과 이곳에 들렀을 때 이 절을 세워 절이름을 덕주사라 하고, 골짜기 이름을 .. 더보기
경북청도 운문사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산(雲門山•虎踞山)에 있는 절. 신라 진흥왕 21년(560) 신승(神僧)이 창건하여 대작갑사(大鵲岬寺)라 하였다고 함. 신라 말 일대의 다섯 갑사(岬寺)가 모두 폐사되어 그 기둥을 이 절에 모아 두었음. 그 뒤 고려 태조 20년(937) 보양(寶壤)이 중국에서 돌아오던 중에 서해 용왕의 아들 .. 더보기
경남사천 백천사 팔만구암자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와룡산 기슭에 있다. 신라 문무왕(663년) 때 의선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임진왜란 때에는 승군(僧軍)의 주둔지였다고 한다. 옛 모습은 전혀 남아 있지 않으며 현재의 모습은 현대에 와서 새로 만들어진 것이다. 약사와불전에 있는 길이 13m·높이 4m의 목조와불로 유명한.. 더보기
춘천 청평사 973년(광종 24) 승현(承賢)이 창건하고 백암선원(白岩禪院)이라 하였으나, 그 뒤 폐사되었다. 1068년(문종 2) 이의(李顗)가 중건, 보현원(普賢院)이라 하였다. 이의의 아들 자현(資玄)이 이곳으로 내려와 은거하자 오봉산에 도적이 없어지고 호랑이와 이리가 없어졌다고 하여 산 이름을 청평이라 하고 사찰 .. 더보기
강원도평창 월정사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절. 신라 선덕왕 12년(634) 자장(慈藏)이 당(唐) 나라 오대산의 문수보살석상(文殊菩薩石像) 앞에서 7일 동안 기도하였는데, 기도 끝에 한 늙은 승려가 나타나 부처의 가사와 바루, 사리를 전해주면서 ‘신라의 오대산은 문수보살이 항상 머물고 있는 곳이니, 반드시.. 더보기
경남고성 옥천사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로 670년(신라 문무왕 10)에 의상(義湘:625~702)이 창건하였다. 대웅전 뒤에 맑은 물이 나오는 샘이 있어 옥천사라고 불리게 되었다. 중국 당(唐)나라에 가서 화엄종의 시조 지엄(智儼)에게 화엄학을 배우고 돌아온 의상이 강론한 곳이다. .. 더보기
서울 석림사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1671년(조선 현종 12) 석현(錫賢)과 그의 제자 치흠(致欽)이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석림암(石林庵)이라고 불렀고, 창건 직후에 유담(裕潭)이 삼소각(三笑閣)을 세웠다. 숙종(재위:1674∼1720) 때 문신인 박태보(朴泰輔)가 김시습(金時習)의 명복을 빌.. 더보기
충남예산 수덕사 문헌으로 남아 있는 기록은 없지만, 백제 위덕왕(威德王:554~597) 때 고승 지명이 처음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제30대 왕 무왕(武王) 때 혜현(惠顯)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강설하여 이름이 높았으며, 고려 제31대 왕 공민왕 때 나옹(懶翁:혜근)이 중수하였다. 일설에는 599년(신라 진평왕 21)에 지명.. 더보기
보은 법주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면에 있다. 속리산(俗籬山)안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시대 진흥왕(재위 540~576)때 창립. 쌍사자 석등(높이 3.3m) 등 창건 당시의 석조물이 있다. 팔상전(捌相殿)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유일의 목조오중탑. 이조 인조 2년(1624)에 중건. 1층 및 2층은 5간, 3~4 층은 3간, 5층은 1간이다. 현저.. 더보기
영주 비로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진정이 창건한 화엄종 사찰로, 신라 말에는 소백산사라고도 불렀다. 가난하여 장가도 들지 못한 채 홀어머니를 봉양하던 진정은 의상이 태백산에서 많은 사람들을 교화한다는 소문을 듣고 출가하여 의상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