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지면은 본래 옛 가야의 영토로 이전에는 고자미동국의 영토였으며,
6가야 중 수로의 막내 동생인 말로가 지배하던 소가야(지금의 고성)에 속했다.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는 독로국, 고자군, 고성군
지역이었다. 석기시대의 패가, 입석, 석기, 토기, 돌칼, 돌도끼, 항아리등의 유적과 유물로 보아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입증하고 있는데,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화로, 기왓장, 금불상 등도 출토되어 선대들이 이 섬을 영원한 삶의 터전으로 삼아 연연히 살아 왔음을 알 수 있다.
욕지도의 지명에 관한 유래로는 여러 갈래의 설이 있다.
먼저 옛날에는 "녹도(양녹도)"라 일컬었다는 설인데 이는 통제영이 고성현 춘원면(현 통영시내 일대)에 주둔할 때 조정에 진상할 목적으로 직접 사슴사육을 하였고 이에 1888년 개척자들이 처음으로 입도 하였을 때 수목이 울창하고 가시덤불과 온갖 약초가 뒤엉킨 골짜기마다 사슴들이 뛰어다녔다는 증언을 토대로 일제 때 만들어진 이름이다.
이 밖에 구전이 되어 오는 설로는 "호주"라 불렀다는 설도 있고 욕지항 안에 또 하나의 작은 섬이 거북이 모양으로 목욕하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욕지"라 일컬었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유배지였기 때문에 많은 인물들이 이곳에서 욕된 삶을 살다 갔다 해서 "욕지"라 불렀다고도 하는데 욕지가 유배지란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지금의 욕지도란 지명의 유래에 관해서는 서기 42년 낙동강하류에 금관가야를 세운 김수로왕의 형제6인중 막내인 말로가 서기 44년 3월에 지금의 고성 땅에 소가야를 세웠다.
소가야 사료 "철성지"에 소가야는 9대 왕계에 걸쳐 2현, 6향, 10부곡의 18주와 20개 도서를 다스렸는데 20개 도서 중에 욕지도, 연화도, 노태도(현. 노대도), 적질도(현. 납도)가 현 욕지면 관내에 있는 섬으로 이 시대부터 욕지의 지명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개척자들의 구전에 따르면 입도 할 당시 전선소, 치소, 관소, 봉화대 등의 유적이 있었다 하는데 지금은 그 흔적조차 찾을 길이 없어 안타까울 뿐이다.
통영항에서 대기중인 상그리라 페리호
통영선착장 내부의 모습
간만에 울 마눌과같이 동행한다.
통영항구의 모습
통영항구에서 제작중인 선박들
페리호를타고 물살을 가르면서 욕지도로 떠난다.
욕지도와 연화도를 운항하는 선박들
우리가 타고가는 배는 페리호라서 그런지 물살이 제법이나 갈라지는구나.
저뒤로는 통영의 미륵산이 보인다.
주위의 풍경
자연의 아름다움
바위의 아름다운 모습
페리호가 물살을 가르면서 작은섬들을 지나간다.
욕지도의 등대
통영항에서 출발하여 욕지도의 선착장에 도착한다.
욕지도의 항구
대구의 Kj산악회원 45명이 산행지로 이동을 한다.
욕지도의 아름다운 풍경
ㅎㅎ 산딸기도 익어가고
욕지면의 마을풍경
마눌 빨리 올라가지않고 뭘봐~~~
오솔길을 따라서 열심히 산을 오르고있다.
산행을하는 도중에 찔레꽃이 만발하여 자연의 향기에 취해보기도한다.
욕지도의 아름다운 섬의 풍경
여기 대기봉정상에 올라서면 매물도.사랑도 여러가지 크고 작은 섬들이 보인다.
욕지도 천황봉의 모습
천황봉에서 마눌과 한컷
천황봉에서 바다의 배경으로 한컷
산행도중 아름다운 야생화도 만발하고~~~
욕지도에는 지금 고구마 파종이 한창이다.
욕지도의 섬에는 조그만 중학교가있다.
욕지도에서 산행을 마치고 연화도로 떠난다.
마눌 뭘봐~~~ 찰칵
눈이 즐거우시면 아래의 손가락(추천)을 한 번 꾹 눌러주시고 가시면
저에게는 큰 보탬이 됩니다
'♣ 산 꾼의 이야기 ♣ > 섬 산행 및 섬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 매물도가는 바다의 풍경 (0) | 2011.07.17 |
---|---|
{경남통영} 통영 8경으로 꼽을 정도로 수려한 해안 풍경을 자랑하는 연화도 (0) | 2011.05.29 |
{경남 거제시} 대소병대도 (여차-홍포 전망도로) (0) | 2011.05.01 |
{전남 완도} 자연이 살아 숨쉬는 청산도의 슬로우 걷기 (0) | 2011.04.17 |
청산도의 청보리밭 (0) | 201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