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여행 갤러리 ♣/부산,경상남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진주 의암사적비 의암사적비는 임진왜란 2차 진주성전투때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의 민·관·군이 순절하자 왜장을 끌어안고 순국한 의기 논개의 사적을 기록한 비석이다. 유몽인(1559∼1623)의 어우야담에 의해 전해진 기록을 진주사민들은 명암 정식(1683∼1746)이 찬한 비문으로 경종2년(1722)에 세웠고 영조16년(1741)에 .. 더보기 진주 의암 의암은 논개(論介)가 왜장을 끌어안고 순국한 바위이다. 조선조 선조 26년(1593) 6월 그믐날 임진왜란 2차 진주성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의 민관군이 순절하자 논개는 왜장을 끌어안고 여기에서 남강에 뛰어들어 순국하였다. 이에 논개의 의열(義烈)을 상징하여 진주의 선비와 백성을은 이 바위.. 더보기 국립 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은 1984년 11월 2일 개관하였으며 우리나라 전통목조탑을 석조 건물로 형상화한 것으로 건축가 김수근 선생의 대표적 작품입니다. 개관 당시 가야문화를 소개하고, 경남 서부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이었으나, 1998년 1월 임진왜란 최대의 격전지인 진주성에 위치하.. 더보기 창녕군남지 낙동강 유채축제 창녕군 남지읍 낙동강변 광활한 둔치에 유채단지를 조성하여 남지체육공원에서 우리고장의 안녕과 번영을 비는 낙동강용왕대제를 시작으로 공연행사, 전통행사(낙동강용왕대제), 문화행사, 체육행사 등 다양한 이벤트 행사와 함께 낙동강 유채축제가 개최된다 더보기 창녕군 유채축제 전통혼례 더보기 하동 남도대교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와 전남 구례군 간전면 운천리 사이 섬진강을 가로지르는 길이 358.8m, 폭 13.5m 규모로 2000년 6월 착공되어 2003년 7월 29일 준공한 영․ 호남 화합 상징다리이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가 균등부담으로 사업비 217억원이 투자된 이 교량은 중앙부는 닐슨아치교 160m로 국내에서는 한.. 더보기 하동 십리벚꽃 길 꽃샘추위가 끝나고 4월로 접어들때쯤이면 화개에는 그 좋은 벚꽃이 십리에 날려 화사하게 봄을 재촉한다. 화개의 꽃길은 이미 십리벚꽃으로 잘 알려진 길이다. 마치 꿈길과도 같은 이길은 서로 사랑하는 청춘남녀가 두손을 꼭 잡고 걸으면 백년해로 한다고 하여 일명 “혼례길”이라고.. 더보기 하동군 화개장터 화개장터는 화개면 탑리에 있으며 5일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곳이다. 지리산 맑은 물이 흘러 내려와서 섬진강과 만나는 곳에 자리한 화개,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이어주는 화개장터는 해방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5대 시장중 하나로 전국의 어느 시장보다 많은 사람이 붐볐던 곳이다. 이곳엔 5일.. 더보기 진해 군항제 벚꽃이 만발하는 3월 말 ∼4월초 진해에서는 총 10여일간에 걸쳐 군항제가 펼쳐진다. 벚꽃축제로도 불리어지는 진해 군항제는 지난 1952년 4월 13일, 우리나라 최초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동상을 북원로터리에 세우고 추모제를 거행하여 온 것이 계기가 되었다. 초창기에는 이충무공 동상.. 더보기 거가대교의 신비로움 2004년 착공하여 2010.12.14일 개통한 거가대교는 경남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시점)~부산시 강서구 천가동 가덕도을 연결하는 침매터 널 3.7km , 사장교 2개소 4.5km의 총 8.2km의 다리로서 FAST TRACK 방식 (설계와 시공을 병행하는 기법)을 이용 하여 건설되었으며 특히 침매터널은 48미터수심을 포.. 더보기 창녕군 고암면 구니서당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전에 이곳 고암면 계상리 1160번지에 자리잡은한훤당(寒暄堂) 김굉필 선생의 둘째 아들인 김찰휘 언상공의 후손들이 약 300년전에 봉선소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그후 묘각(廟閣) 또는 서당으로 이용되어 오다가 1866년 사림에서 언상공을 비롯한 3세 4현을 모시고 서원건립을 .. 더보기 함양의 예술마을 더보기 경남 밀양의 삼랑진교 밀양의 삼랑진교의 풍경입니다 더보기 경남 의령군 궁유 산천렵마을 탐방 일시 : 2011년 02월 04일 경남 의령군 궁유면 예동마을은 산천렵마을로 지정되어 고향의추억이 살아있는 마을이다 더보기 경남창녕 우포늪 자연생태관 탐방 일시 : 2011년 02월 03일 설날 고향에서 차례를 모시고 가족들과 우포늘을 탐방하면서 아이들에게 삶 교육을 가리키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우포의 겨울 가족들과 우포의 둘레길을 걸으면서 우포늪자연 생태관 생태관을 관람하고 나오면서 (가족들과) 자아~~ 지금부터 우포늪 생태관 관람들어 갑니다ㅎ.. 더보기 경남의령 봉황대 일시 : 2011년 02월 03일 이 봉황대는 경남 의령군 궁유면 평촌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풍경이 아름다워 제2의 금강산이라고 불리웠다 봉황대의 웅장한 모습 봉황대는 의령의 9경중에 하나다 의령의 9경 설명 봉황대의 유래 봉황대의 모습 더보기 경남창녕 술정리 동3층석탑 (국보34호) 민가의 담 밑으로 하층기단(下層基壇)의 일부가 들어가 있었으나, 1965年 주위에 있던 민가들을 철거하여 정화 보존 조치를 취하였고 탑도 함께 해체해서 수리하였다. 이때 3층 탑신의 상면(塔身上面)의 방형사리공(方形舍利孔)에서 청동향로형용기(靑銅香爐形容器), 황색(黃色), 유리제(製), 사리병(舍.. 더보기 경남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33호) 원래 화왕산 기슭에 있던 것이 소풍 갔던 학생에게 발견되어 알려졌는데, 학계에 보고된 것은 1914년 2월7일 창녕 초등학교 일본인 교장 하시모토(橋本良臧)에 의해서 였다. 그 후 1924년 지금의 만옥정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흔히 순수비로 통칭되나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에 있는 순수비처럼 순수관.. 더보기 경남 창녕의 허준 드라마 촬영지 일시 : 2011년 02월 02일 창녕 화왕산성에서 관룡사가는쪽으로 허준의 드라마촬영장이 위치하고있다 더보기 경남창녕 석빙고(보물제310호) 조선조 시대에 중수하였다고 보는 빙고(氷庫)이다. 이는 구조양식의 측면과 장빙(藏氷)의 풍속이 그 당시에 제도화되어 성행하였던 점을 미루어 보아서이다. 이 빙고는 봉토도 거의 완전하며, 외부의 모양은 마치 거대한 고분처럼 보이고 뒤에 흐르는 개천에 직각되게 남북으로 길게 구축되었다. 빙실(..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