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내여행 갤러리 ♣/전국 유명사찰 탐방

전북진안 금당사

금당사(金塘寺)는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41번지 마이산에 자리잡고 있다.
절의 창건은 650년(백제 의자왕 10) 고구려에서 백제로 건너온 보덕(普德) 스님의 11제자 가운데 한 분인 무상(無上) 스님이 그의 제자인 금취(金趣) 등과
함께 세 웠다고 전한다. 그리고 『삼국유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보이는 보덕 스님의 행장을 통 해 절의 창건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보덕 스님은 고구려 후기의 스님으로서 고구 려에서 열반종을 널리 알인 개조(開祖)이기도 하다. 그러나 고구려 보장왕(재위 642~668) 이 중국에서 도교를 들여와 받들뿐 불교를 신봉하지 않자 왕에게 도교만 믿고 불교를 멀리하면 나라가 위태해질 것임을 여러 차례 건의하였다. 그러나 왕이 끝내 그의 말 을 듣지 않자 스님은 650년(보장왕 9) 제자 11명과 함께 백제의 완산주(完山州)로 내 려와 고대산(孤大山)에 경복사를 지어 『열반경』을 강의하였고, 함께 온 11명의 제자 역시 절을 짓고 포교하였다고 한다.

금당사의 창건주인 무상 스님 역시 그 11명의 제자 가운데 한 분인데, 나머지 제자 중 적멸(寂滅)과 의융(義融)은 지금의 임실에 진구사(珍丘寺)를, 지수(智數)는 경상북도 문경 사불산에 대승사(大乘寺)를, 대원(大原)ㆍ일승(一乘)ㆍ심정(心正)은 전주 모악산 에 대원사(大原寺)를, 수정(水淨)은 정읍 칠보에 유마사(維摩寺)를, 사대(四大)는 제 자인 계육(契肉)과 함께 진안 성수산에 중대사(中臺寺)를, 개원(開原)은 충청북도 단 양 금수산에 개원사(開原寺)를, 명덕(明德)은 연구사(燕口寺)를 각각 지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창건된 당시의 절은 지금의 위치에서 악 1.5㎞ 가량 떨어진 곳이었다고 한 다. 그래서 예전 자리를 고금당(古金塘), 혹은 자연동굴을 법당으로 삼았으므로 혈암 사(穴巖寺) 또는 금동사(金洞寺)로 불렀다. 절이 지금의 자리로 옮겨온 것은 1675년( 숙종 1)의 일이다.
한편 또다른 창건설로는 814년(현덕왕 6) 또는 876년(헌강왕 2)에 중국인 혜감(慧鑑) 스님이 창건하였다는 말도 전하는데, 문헌의 기록이 없어 확인하기 어렵다.

절은 창건후 고려시대 말에 이르기까지 완주에 자리한 경복사(景福寺)를 중심으로한 열반종(涅槃宗) 사찰로서 발전하였다. 그리고 한때 나옹 혜근(懶翁惠勤, 1320~1376) 스님도 이 절에 머물며 수도해 도를 얻었다고 전한다.

조선에서는 억불정책으로 사세가 많이 위축된 데다가 임진왜란ㆍ병자호란 등을 껶으면 서 쇠락되었으나, 1675년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새로운 기운을 얻어 중창을 이루게 되었다. 절 이름도 고금당에 있을 때의 옛이름인 금동사에서 유래된 금당사(金塘寺)로 바뀌었는데, 혹은 ‘金塘寺’로 쓰기도 하였다. 현재 경내 왼쪽의 미륵입상 앞에 연못 이 있어 절 이름 그대로 금당(金塘)을 이루고 있다.

1682년(숙종 8) 괘불을 조성하였는데 이후의 조선 후기 역사는 공백으로 남는다. 1914 년에는 칠성탱화를 봉안하였고, 최근에 들어와서는 1976년 금당을 비롯한 여러 건물이 퇴락되어 각 전각에 대한 중건 불사를 하였다. 요사의 신축을 시작으로 1978년 명부전, 1987년 산신각, 그리고 1990년에 극락 보전을 새로 지었다. 또한 1985년 미륵입상을 조 성하였고, 1991년 산신탱화와 용왕탱화를 봉안하였다.

 

 

 

 

 

 

 

극락보전·무량수전·무량전·보광명전(普光明殿)·아미타전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극락정토신앙이 강하여 내부 구조는 대웅전만큼이나 화려하다.

주불을 모시는 불단 위에는 닫집인 천개(天蓋)를 달고 여의주를 문 용이나 극락조를 조각하여 장식한 다. 기둥과 천장에는 단청을 하고 삼존불 뒤쪽에는 극락의 법회 장면을 그린 극락회상도(極樂會上圖) 나 극락

구품탱화 등을 건다. 이밖에 후불탱화로는 아미타불화·아미타불내영도(阿彌陀佛來迎圖)·관음도 등을 건다.

본존은 서방 극락세계에 살면서 중생에게 자비를 베푸는 아미타불로, 무량수불 또는 무량광불(無量光佛) 이라고도 한다. 아미타불의 광명은 끝이 없어 백천억 불국토를 비추고(無量光), 수명 또한 한량없어 백 천억 겁으로도 헤아릴 수 없다(無量壽). 그래서 이 부처를 모신 전각을 무량수전이라 하고 보광명전이라 고도 한다. 아미타전은 이 부처의 이름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아미타불의 좌우 협시로는 중생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또는 관세음보살과 지장 보살을 둔다. 여기서 관세음보살은 아미타불의 자비를 상징하는 지혜로써 중생을 번뇌의 고통에서 벗어 나게 하고, 지혜를 상징하는 대세지보살은 지혜의 광명으로 모든 중생을 널리 비추어 삼도의 고(三道苦) 를 없애고 끝없는 힘을 얻게 한다. 지장보살은 중생을 구제하여 극락으로 인도하는데, 한국에서는 고려 및 조선시대에 극락왕생 신앙이 성행하면서 아미타불의 협시로 등장하였다.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즉 《무량수경》《관무량수경》《아미타경》을 근거로 하여 아미타불을 모시고 극락왕생을 빌기 위해 세운다. 한국 불교에서는 대웅전·대적광전과 함께 3대 불전으로 꼽힐 만큼 중요 하며, 대표적인 건물로는 영주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국보 18)을 들 수 있다. 전각은 남향이고 아미타불상은 동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불상 앞에서 기원하는 사람은 극락이 있는 서쪽을 향하게 된다.

부여의 무량사극락전(無量寺極樂殿:보물 356)이나 강진의 무위사극락전(無爲寺極樂殿:국보 13) 등도 같 은 경우이다. 김천 직지사처럼 극락전을 아예 서쪽에 동향으로 세운 곳도 있다.

 

 



 

 

 

 

 

'♣ 국내여행 갤러리 ♣ > 전국 유명사찰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창녕 도성암  (0) 2011.02.04
광주 증심사  (0) 2011.01.30
경북달성 유가사  (0) 2011.01.01
남해 보리암  (0) 2010.12.25
제주서귀포 약천사  (0) 201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