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내여행 갤러리 ♣/부산,경상남도

삼천포 항구

 

경남 사천시에 있는 항구로 항내수(港內水) 면적 213만 6000 m2를 보유하는 항만법상 1종항이다.
1958년 대(對) 일수출에 활기를 불러일으킨 선어(鮮魚) 수출항으로 지정되었고,
 1966년 4월 16일 개항장이 되었다. 한려수도의 기항지이며, 어항과 임해공업의 수출항으로 좋은 여건을 지니고 있다.

항내수(港內水) 면적 213만 6000 m2를 보유하는 항만법상 1종항이다. 1958년 대(對) 일수출에 활기를 불러일으킨 선어(鮮魚) 수출항으로 지정되었고, 1966년 4월 16일 개항장이 되었다. 한려수도의 기항지이며, 어항과 임해공업의 수출항으로 좋은 여건을 지니고 있다. 1990년 현재 접안시설인 물량장 1,597 m와 잔교(棧橋) 1기가 있으며, 외곽시설로서 방파제 588 m, 방사제 65 m, 호안 2,252 m, 도류제(導流堤) 161 m가 있다. 연간 하역능력은 218만 2000 t이며, 주요 취급화물은 유류 ·선어 ·시멘트 ·무연탄 ·철재 ·광석 ·염류 등이다.

 

 

 

 

삼천포대교 : 삼천포와 남해 창선도를 잇는 다리가 삼천포대교다.

삼천포대교가 생기기 전에는 남해도까지 가려면 사천을 둘러 진교로 나가야 했기 때문에 한시간 이상 걸렸지만, 지금은 자동차로 2~3분이면 갈 수 있는 가까운 곳이 되었다.  

 

다리를 건너면 더이상 삼천포가 아니니 다른 길 이야기를 해 보자.
드라이브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실안 해안도로를 달려보자. 잘 닦여진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죽방렴을 볼 수 있다.
이 죽방렴은 자그마치 500년 이상 이어져 내려오는 삼천포 고유 어업방식이다. 삼천포 앞바다를 흐르는 강한 물길을 이용한 죽방령어업에는 주로 멸치가 잡힌다.
죽방렴에 잡히는 ‘죽방멸치’는 유명 백화점에서 조차 없어서 못 팔 정도로 귀한 상품이며, 명절을 앞둔 무렵이면 부르는게 값일 정도로 인기 있는 선물 목록에 들어간다.
바다에서 잡히는 멸치가 다 같지 뭐 별거 있겠냐고 생각하신다면, 그건 죽방멸치를 한번도 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러시는 거다. 우리 전통어법인 죽방렴은 멸치를 비늘 하나 다치지 않은 상태로 잡을 수가 있기 때문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상품성을 자랑한다. 또한 그 어떤 방식으로 잡는 멸치 보다 신선도가 높으므로 맛 또한 최고로 인정받는다.

 

 

 

 

 

 

 

 

 삼천포 시내 전경 : 삼천포대교에 올라서면 삼천포 시내가 한 눈에 들어온다.

멀리 오른쪽에 보이는 화력발전소 뒤가 고성군이다.

삼천포는 그리 큰 도시는 아니지만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푸근한 마음을 가지게 하기 충분하다.

 

한때는 행정구역상 독립된 ‘삼천포시’였지만 지금은 항구 이름만 ‘삼천포항’일뿐 공식적인 지명은 사천시가 됐다.

개인적인 느낌인 지는 모르겠지만, 사천시와 통합되고 난 후 삼천포는 도시 규모가 예전 보다 많이 줄었다는 생각이 든다.
하긴 그게 어디 행정구역 통합 때문만이기야 하겠는가. 세월이 그만큼 변했기 때문일테지….

‘쥐포’란 원래 ‘쥐치포’의 준말이다. 쉽게 말하면 쥐치를 포를 떠서 양념을 한 다음 말린 건어물이 쥐포인 것이다.
당시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는 쥐치 자원이 엄청나게 많았다. 못생긴게 많이 잡히기까지 하니 당연히 값이 나가지 않았다. 쥐치를 이용해 포를 뜨는 건어물인 ‘쥐포’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런 시대경제적인 원인이 자리잡고 있다

 

 

 

 

 

삼천포 어항 : 아침이 되면 수협 앞 어항은 새벽 일찍 바다에서 잡아온 해산물들을 경매에 넘기기 위한 어선들로 북적댄다. 삼천포항에는 소형 어선이 많지만 어자원이 풍부해 위판량이 매우 많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