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내여행 갤러리 ♣/전국 유명사찰 탐방

{경북 칠곡군} 천오백년 고찰 보물 189호 오층전탑이 유명한 송림사

천오백년 고찰 

보물 189호 오층전탑이 유명한 송림사

 

친구와 둘이는 불교신자다.

그래서 경북 칠곡군 동명면에 위치하고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송림사에 나들이를 가보았다. 송림사는 천년고찰로서 대구 시민들이 팔공산으로 나들이를 가면서 많이 찾아가는 곳으로 유명한 사찰이기도 하다. 얼마 전에는 대웅전도 보물로 승격을 하였고 오층 전탑도 보물이고 해서 각종 문화재가 많이 보유하고 있는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산사의 여름풍경은 더 없이 고즈넉하기도 하였다.

 

송림사에는 특히 보물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는 오층 전탑이 볼거리로 등장을 하기도 하지만 송림사 대웅전 안에는 약 3백년쯤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3m의 향 목불상 3좌가 있는데 이렇게 향나무로 만들어진 불상은 국내에서 찾아보기가 힘들며 규모가 큰 것에 속한다고 한다. 이곳 대웅전에 들어가서 부처님 앞에서 불공을 드리면서 송림사의 고즈넉한 산사의 여름 풍경을 담아보았다. 또한 송림사는 팔공산순환도로변에 있는 신라고찰로서 대구시와 가깝고 교통이 편리하여 가족단위의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오는 사찰로서 조선 세종 때에는 교종, 선종 36사의 하나에 포함된 사찰이었으나, 조선후기에 들어서는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에 자리를 넘겨주고 그 말사가 된 사찰로서 544년(진흥왕5) 진나라에서 귀국한 명관이 중국에서 가져온 불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창건한 사찰이다.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3 (동명면)

 

사진촬영정보

▶바디 : 캐논 EOS 5D Mark IV (5디 마크4), ▶렌즈 : 캐논 정품 RF17-40mm 광각렌즈 F4 L IS USM

 

 

배롱나무꽃이 곱게 피어난 삼성각의 전경이다.

 

 

 

송림사에 대한 설명의 글이다.

 

 

 

송림사 주차장이다.

 

 

 

송림사 입구에서 바라본 송림사의 전경이다.

 

 

 

송림사 입구의 전경이다.

 

 

 

송림사 대웅전도 보물로 지정이 되었네요

 

 

 

팔공산 송림사의 일주문의 전경이다.

사찰에 들어서는 산문() 중 첫번째 문이다.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된 말이다. 시대적용 기타 네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얹는 일반적인 가옥 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의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는 독특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사찰에 들어가는 첫 번째 문을 독특한 양식으로 세운 것은 일심()을 상징하는 것이다.

 

 

 

송림사의 전경이다.

 

 

 

천년고찰 송림사의 전경이다.

 

 

 

친구와 함께 송림사에 들렀다가 친구의 모습을 한 컷 담아보았다.

불교신자다.

 

 

 

오층전탑과 대웅전의 배경으로 한 컷 담아보았다.

 

 

 

송림사 대웅전의 전경이다.

이곳 대웅전은 보물로 승격이 되었다고 한다.

대웅전의 편액은 숙종대왕의 어필이며 대웅전안에는 3백년쯤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3m의 향목불상 3좌가 있는데 이렇게 향나무로 만들어진 불상은 국내에서 찾아보기가 힘들며 규모가 큰 것에 속한다고 한다. 대웅전은 정면 5칸과 측면 3칸으로 된 중후한 건물로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대웅전의 정면에는 낡은 문이 보이지만 천오백년의 고찰이라고 하니 엄청난 세월이 흘렀다.

 

 

 

대웅전 내부의 전경이다.

 

 

 

삼천불전의 전경이다

내부에는 삼천불전이 있다.

 

 

 

삼천불전 내부의 전경이다.

 

 

 

친구는 삼천불전에서 엎드려 불공을 드린다.

 

 

 

삼성각의 전경이다.

 

 

 

삼성각 내부의 전경이다.

 

 

 

친구는 삼성각에서 열심리 불공을 드린다.

 

 

 

설법전의 전경이다.

 

 

 

선열당의 전경이다.

 

 

 

명부전의 전경이다.

 

 

 

 

송림사 응진전(나한전)의 전경이다.
인도의 옛말 아르하트에서 유래된 말로 ‘아라한’ 또는 줄여서 ‘나한’이라고 하는데 뜻으로 옮기자면 ‘응공, 무학, 응진’이라고 한다. 본래는 존경받을 만한 분, 공양 받을 만한 분이라는 뜻에서 응공,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는 뜻에서 무학, 진리에 도달 했다는 의미로 응진 이라고 하는데, 석가모니 부처님도 처음에는 ‘아라한’이라 불렸다고 한다. 특히 초기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제자들이 수행을 통해 다다를 수 있는 최고의 경지, 곧 현실의 모든 번뇌와 고통을 여윈 해탈의 상태를 일컬는 말이다. 

 

 

 

송림사의 산령각 전경이다.

불교에 유입된 산신의 개념은 가족 구성원의 부귀와 장수를 기원하거나 가람의 수호신으로 모습이 변모하게 된 것이다.

산신탱화에 등장하는 산신의 대부분은 호랑이를 타고 있거나 호랑이를 앞뒤로 거느리고 있다.  산신을 보좌하는 시좌로 호랑이 외에 탱화 속에는 앳된 동자상이 귀엽고 앙증맞은 얼굴로 미소를 짓고 있으며. 동자상은 산신령에게 과일이나 차, 꽃, 또는 불로주를 올리는 모습으로 많이 묘사되고 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동자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동녀도 있다. 어느 탱화에서는 동자 두명이 등장하기도 하고 동자와  동녀가 짝을 이루어 나타나기도 한다고 한다.

 

 

 

백봉 성덕큰스님 부도전의 전경이다.

 

 

 

송림사 오층전탑에 대한 설명의 글이다.

 

 

 

송림사 오층 전탑의 전경이다.
 상기의 오층 전탑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89호로 지정되었다.
크기 : 전체높이 16.13m, 기단폭 7.3m

 

통일신라시대의 전탑, 송림사 오층전탑은?
송림사 대웅전 앞에 서있는 5층 전탑()으로, 흙으로 구운 벽돌을 이용해 쌓아 올렸다.

탑을 받치는 기단()은 벽돌이 아닌 화강암을 이용하여 1단으로 마련하였는데, 기단의 4면에는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오층전탑과 대웅전의 전경이다.

 

 

 

불교 사찰에서 범종을 두는 당우()의 전경이다.
범종을 달아 놓은 전각을 말한다. 당호는 절에 따라 범종루·종각·종루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단층일 경우 각()이라 하고 중층일 경우 루()라고 한다. 규모가 큰 사찰에서는 중층으로 세워 법전사물(殿)을 함께 두기도 한다. 전각의 외양은 대개 기둥과 목책이 있는 사각의 단층 건물이거나, 2층 누각이다.

 

 

 

 

 

가실 때는 아래의 ♡(공감) 버튼을 한 번 꾹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