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내여행 갤러리 ♣/제주도

제주도 돌 문화공원

 

제주도의 돌문화공원에는 제주도에있는 모든것들이 전시되어있는 곳입니다

 

제주 특유의 돌문화를 집대성하여 관·민 합작으로 조성한 공원으로, 부지면적은 326만 9,731㎡(100만 평)이다. 2008년 현재 1단계 사업지구 96만 9,731㎡이 공원화되어 있으며 향후 총 1,852억을 투자하여 2020년까지 조성될 계획이다. 1999년 1월 19일 북제주군(현재 제주시로 통합)과 탐라목석원이 협약을 체결하고, 2001년 9월 19일 기공식을 하였으며 2006년 6월 3일 개원하였다.

공원 부지 100만 평 중 70%는 돌·나무·덩굴이 어우러져 있는 곶자왈 지대로, 늪서리·큰지그리·작은지그리·바농 오름이 펼쳐져 있다. 공원조성의 제1원칙을 ‘환경 보존’으로 삼았고, 이 원칙을 토대로 제주의 정체성과 향토성, 예술성이 살아나는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하였는데, 공원에는 탐라목석원이 기증한 자료 1만 4,441점을 근간으로 갖가지 돌전시품이 전시되어 있다. 제1코스(동선거리 560m), 제2코스(970m), 제3코스(780m)를 돌며 관람하게 되어 있으며, 모두 돌아보는 데 2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공원은 크게 제주돌박물관·돌문화전시관·야외전시장·제주전통초가공간으로 구성된다. 제주돌박물관은 총면적 9,904.43㎡의 지하 3층 건물로, 돌갤러리(제주의 자연석 전시), 제주형성전시관(제주의 화산활동을 주제로 오름·동굴·지형·지하수·화산분출물 관련내용 전시), 영상실, 기획전시실로 이루어지며 옥상에는 수상무대로도 사용되는 하늘연못과 벽천계류가 조성되었다.

돌문화전시관은 8동의 독립된 건물로 구성되며, 선사인의 돌문화, 고인돌, 돌문화영상, 의·식생활, 주생활·놀이 등을 주제로 전시한다. 부지면적 약 3만 8,000㎡의 야외전시장에는 제주의 돌유물들이 복제·재현되어 있다. 선사·탐라시대(북촌리 바위그늘유적·우도 동굴유적·금성리유적 석축시설·고인돌·선돌 등), 고려시대(하원동 탐라왕자묘·수정사지 다층석탑·동자복과 서자복·존자암지 부도 등), 조선시대(돌하르방·삼사석·조천석·회천동 석불 등)의 시대별 돌유적과 무덤·민간신앙 관련 전시품들을 볼 수 있다.

제주전통초가 공간에는 4·3사건으로 사라진 중간산마을의 전통초가 13가구가 재현될 예정인데 2008년 현재 세거리집·두거리집 등 초가 8동이 완성되었다. 설문대할망설화를 간직한 오백장군상을 만드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향후 돌문화공원에는 설문대할망전시관이 들어서게 된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사람이 누워있는 형태로 만들어질 이 전시관의 머리 부분에는 대극장과 소극장이, 손목·발목 부분에는 현대미술관과 제주민속품 전시관이 배치될 계획이다. 그밖에 곶자왈 지대에 자연휴양림을 조성하고 청소년자연학습장 및 가족휴양시설 등도 마련한다. 돌문화공원은 2006년 문화관광부가 실시한 문화·생태·관광자원 평가에서 전국우수사례 A등급 평가를 받은 바 있다.

 

 

 

 

 

 

 

 

 

 

 

 

 

 

 

 

 

 

 

 

 

 

 

 

 

 

 

 

 

 

 

 

 

 

 

 

 

 

 

 

 

 

 

 

'♣ 국내여행 갤러리 ♣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감귤박물관 주변풍경  (0) 2011.03.23
서귀포항구  (0) 2011.03.23
제주도에서의 이모저모  (0) 2010.12.15
한라산 입구에서  (0) 2010.12.15
제주도 여미지 식물원  (0) 2010.12.15